바람이 불어오는 곳
서울, 2024년 겨울, 한 영세 신문사의 기자인 윤승옥은 하루를 마무리하며 퇴근길에 올랐다. 늦은 밤, 거리에는 적막이 깃들었고, 찬 공기가 그녀의 얼굴을 스쳤다. 그 순간, 길가 작은 술집에서 흘러나온 노래가 그녀를 멈춰 세웠다. “왠지 모든 것이 꿈결 같아요… ♫” 김광석의 ‘거리에서‘ 였다. 그녀는 잠시 멈춰 섰다. 대학 시절 자주 듣던 그 노래는 누군가 떠난 후 남겨진 마음을 조용히 어루만지는 듯했다. “그는 왜 그렇게 떠났을까…” 그녀의 머릿속에 오래전 묻어둔 의문이 스멀스멀 피어올랐다.
먼지가 되어
1996년 1월 6일, 서울은 차가운 새벽에 잠겨 있었다. 김광석의 사망 소식은 이른 시간에 전국으로 퍼져 나갔다. 경찰은 “우울증에 의한 자살”이라 발표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이 결론에 풀리지 않는 의문을 제기했다. 주변 인물들의 증언에 따르면 그는 죽기 전날까지 무대에서 열정적으로 노래를 부르던 사람이었다. 가족과 동료들은 “광석이 형은 그런 선택을 할 사람이 아니야”라고 입을 모았지만, 진실을 밝히려는 목소리는 점점 묻혀갔다. 대신 그의 음악만이 라디오와 거리에서 반복적으로 울려 퍼졌다.
그날들
몇 달 후, 승옥은 김광석의 작업실을 취재하기 위해 찾았다. 낡은 책상 위에는 그의 손글씨가 남긴 노트와 미발표 녹음 테이프가 있었다. 한 페이지에는 “모든 노래는 끝이 있지만, 다시 시작될 때를 기다려야 한다”는 문장이 적혀 있었다. 승옥은 녹음 테이프를 조심스레 재생했다. 익숙한 그의 목소리가 울렸다. 하지만 곡의 끝부분, 노래와 겹쳐 들려오는 낮은 속삭임이 그녀를 멈추게 했다. “그날이 오면…” 이 모호한 메시지는 그녀의 호기심을 자극하며 진실을 추적할 동기가 되었다.
사랑했지만
김광석의 음악은 단순한 멜로디 그 이상이었다. 그의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과 ‘서른 즈음’에는 사랑과 시간의 본질을 탐구하며 사람들의 삶에 깊은 울림을 남겼다. 승옥은 그의 노래를 들으며 생각했다. “그는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었을까?” 그리고 그가 마지막으로 남기고자 했던 메시지는 무엇이었을까? 그의 노래 속에는 단순한 예술 이상의 것이 담겨 있을지도 모른다고 그녀는 느꼈다.
나의 노래
김광석의 죽음 이후에도 그의 음악은 거리와 사람들의 삶 속에서 끊임없이 살아 있었다. 사람들은 그의 노래를 통해 그를 추억하고, 그의 목소리를 통해 위로를 받았다. “그의 노래는 끝난 게 아니야. 어쩌면 지금도 어디선가 다시 시작되고 있을지도 몰라”. 승옥은 그의 음악과 남겨진 흔적들을 되새기며, 그날의 진실을 향해 조용히 발걸음을 내딛었다… 젊은 날의 그가 심은 봄의 새싹으로서.